리액트 개발 환경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흔한 방법은 웹팩(Webpack)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그 외에도 Create React App(CRA), Parcel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개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각 방법은 각자의 장단점이 있으며,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웹팩을 선택한 경우처럼 세밀한 제어와 유연성이 필요하다면 웹팩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면 간단하게 시작하고자 한다면 Create React App이나 Parcel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01. 웹팩(Webpack)을 사용한 개발 환경 구성장점유연성: 웹팩은 로더와 플러그인을 통해 다양한 자원을 번들링하고 처리할 수 있음커스터마이징: 설정 파일을 통해 세밀한 설정이 가능..
[리액트2부]고급주제와훅을 수강하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글 입니다.[리액트 1부] 만들고 비교하며 학습하는 리액트 (React) 강의 듣고 실습한 것은 github에 있습니다. 01. 1부 수업 요약1부 수업에서는 쇼핑몰 검색 화면을 만들면서 리액트 기본 개념을 익혔다. 준비편라이브러리 없이 바닐라 js로 어플리케이션 개발했다. 소개편리액티브와 가상돔 개념을 익혔다. react, react-dom, babel, jsx의 역할을 이해했다. 사용편 1리액트로 어플리캐이션을 다시 만들었다.컴포넌트, 상태, 이벤트 처리, 조건부/리스트 렌더링, 컴포넌트 생명주기 등 리액트의 주요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실습했다. 사용편 2여러 컴포넌트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설계했다. 역할에 따라 작은 컴포넌트 여러 개..